외출이 있었던 오늘 날씨가 어찌 될지 몰라 반팔 위에 겉 옷을 하나 챙겼다.

지하철은 에어컨을 틀고 밖의 날씨는 뜨겁고, 여름이 점점 오긴 오나 보다.

이럴 때일수록 몸 관리를 잘해야 한다. 괜히 이 시국에 감기라도 걸리면 눈치 받고 아프고, 아주 서러움 대폭발이다.

 

여전히 무슨 카페든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난 자리 잡기의 제왕

곧바로 좋은 자리를 잡아 문제를 하나 풀었다.

harder-to-be-lazy.tistory.com/34?category=818364 (스택/큐 - 탑 [JAVA] )

 

카페가 시끌벅적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집중이 안되고 쉬운 문제라 생각했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그래도 풀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도록하자.

 

오늘 하루가 다 지나도록 겉옷은 입지 않았다. 특히 해가 지고 나서는 정말 선선해서 가을을 연상케 했다.

이런 날은 옛날 느낌 나는 가게에 앉아 문 다 열어 놓고 먹는 게 또 묘미다.

카페에 나서기 전 이미 정해놓은 가게 "대갈 쭈꾸미"

원래 매운걸 못 먹어서 이런 음식은 괜히 피하게 됐었다.

그래서 오랜만에 먹게 된 쭈꾸미 맵기는 2/5, 제법 맛있었다. 볶음밥이 제법이었다.

 

집에 가기 전 거리를 한 바퀴 돌고 집으로 향했다. 

내일은 집에 틀어박혀 공부만 해야지. 벌써 설레네 ㅋㅋ

 

 

오늘의 추천 노래 : 뒷모습 - 정승환

문제

수평 직선에 탑 N대를 세웠습니다. 모든 탑의 꼭대기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발사한 신호는 신호를 보낸 탑보다 높은 탑에서만 수신합니다. 또한, 한 번 수신된 신호는 다른 탑으로 송신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탑이 왼쪽으로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탑은 다음과 같이 신호를 주고받습니다. 높이가 4인 다섯 번째 탑에서 발사한 신호는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이 수신하고,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의 신호는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높이가 5인 세 번째 탑의 신호도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수신합니다.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과 높이가 6인 첫 번째 탑이 보낸 레이저 신호는 어떤 탑에서도 수신할 수 없습니다.

송신 탑 (높이) 수신 탑 (높이)
5(4) 4(7)
4(7) 2(9)
3(5) 2(9)
2(9) -
1(6) -

맨 왼쪽부터 순서대로 탑의 높이를 담은 배열 heigh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탑이 쏜 신호를 어느 탑에서 받았는지 기록한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heights는 길이 2 이상 100 이하인 정수 배열입니다.
  • 모든 탑의 높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신호를 수신하는 탑이 없으면 0으로 표시합니다.

나의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Top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heights) {
        int[] answer = new int[heights.length];
        
        Stack<Integer> st = new Stack<>();
        for(int hei : heights) {
        	st.push(hei);
        }
        
        int temp = 0;
        for(int i=0; i<heights.length; i++) {
        	temp = st.peek();	
        	st.pop();
        	for(int j=st.size()-1; j>=0; j--) {
        		if(temp < st.get(j)) {
        			answer[i] = j+1;
        			break;
        		}
        	}
        }
        Stack<Integer> sta = new Stack<>();
        for(int s : answer) {
        	sta.push(s);
        }
        
        for(int i=0; i<answer.length; i++) {
        	answer[i] = sta.pop();
        }
        
        return answer;
    }
}

 

나의 풀이

스택/큐 카테고리에 있으니 안쓰고 풀 수 있어도 사용하는게 좋을 것 같았다.

1. 먼저 return해줄 answer의 크기를 탑의 개수만큼 선언한다.

2. 탑의 길이들을 저장할 Stack을 만들어준다. for문으로 Stack에 push해준다.

3. temp는 이전 값을 비교해주기 위해 생성했다.

4. 첫 번째 for문에서는 높이들의 크기만큼 돌린다. 두번째 for문으로 들어가기 전 stack의 마지막 값을 이전 값으로 저장

5. 이전 값으로 저장하면서 바로 pop으로 마지막 값 삭제

6. 두번째 for문은 첫번째에서 왼쪽으로 비교를 위해 오른쪽 값을 삭제하며 가변적인 for문을 돌린다.

7. 이전 값보다 큰 값이 나오면 그 값을 answer에 저장하며 그 뒤에도 큰 값이 나올것을 대비 break

8. 또 다른 stack을 만들어 answer의 값들을 넣는다.

9. pop을 이용해 끝의 값들을 배열에 저장하며 값들을 뒤집는다. ( Last In First Out )

10. answer 리턴

 

+ Recent posts